미국 채권 레버리지 ETF 개념 특징 종류 상품 8가지 

미국 채권과 연관된 상품인 미국 채권 레버리지 ET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미국 채권 레버리지 ETF의 개념, 특징, 종류, 상품에 대해 읽어보세요.

미국 채권 ETF 레버리지 상품이란?

미국 채권 ETF 레버리지 상품은 특정 채권 지수의 움직임을 2배 또는 3배로 확대하여 반영하는 상장지수펀드(ETF)입니다. 투자자는 기존 채권 투자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반대로 손실도 빠르게 확대될 위험이 있습니다.

레버리지 채권 ETF는 주로 단기 투자자나 트레이딩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장기적으로는 복리 효과와 변동성 문제로 인해 기대 수익률과 다르게 움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 채권 레버리지 ETF
미국 채권 레버리지 ETF

미국 채권 레버리지 ETF 상품의 종류

레버리지 채권 ETF는 주로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1) 투자하는 채권 유형에 따른 분류

  • 미 국채 (Treasury Bond) 레버리지 ETF: 미국 국채를 기반으로 한 ETF로, 대표적으로 장기 국채(TLT), 중기 국채(IEF) 등이 있음.
  • 회사채 (Corporate Bond) 레버리지 ETF: 미국 기업이 발행한 회사채를 기반으로 한 ETF.
  • 하이일드 채권 (High-Yield Bond) 레버리지 ETF: 신용등급이 낮지만 높은 이자를 제공하는 하이일드 채권을 기반으로 한 ETF.

2) 레버리지 배율에 따른 분류

  • 2배 레버리지 (2x Leverage): 기초 지수의 하루 변동률을 2배로 증폭.
  • 3배 레버리지 (3x Leverage): 기초 지수의 하루 변동률을 3배로 증폭.

3) 롱(Long) vs 숏(Short) 전략에 따른 분류

  • 롱 포지션 (Bullish, 상승 베팅): 금리가 하락할 때 가격이 오르는 채권 ETF를 2배 또는 3배 확대하는 상품.
  • 숏 포지션 (Bearish, 하락 베팅): 채권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상품으로, 금리 상승 시 수익을 낼 수 있음.

대표적인 미국 채권 레버리지 ETF

1) 국채(Treasury Bond) 레버리지 ETF

ETF레버리지 배율설명
TMF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ull 3X Shares)3배 롱장기 국채(TLT)의 3배 수익률을 추종. 금리 하락 시 큰 수익 가능.
UBT (ProShares Ultra 20+ Year Treasury)2배 롱TLT의 2배 수익률을 추종. 금리 하락 베팅.
TBT (ProShares UltraShort 20+ Year Treasury)2배 숏장기 국채 가격 하락에 베팅. 금리 상승 시 수익 발생.
TMV (Direxion Daily 20+ Year Treasury Bear 3X Shares)3배 숏장기 국채(TLT) 하락에 3배 베팅. 금리 상승 예상 시 유리.

2) 회사채(Corporate Bond) 레버리지 ETF

ETF레버리지 배율설명
IGU (ProShares Ultra Investment Grade Corporate Bond)2배 롱투자등급(IG) 회사채 ETF(LQD)의 2배 수익률을 추종.
SHYG (iShares 0-5 Year High Yield Corporate Bond ETF)단기 하이일드 채권에 투자하지만 레버리지는 없음.

3) 하이일드(High-Yield) 채권 레버리지 ETF

ETF레버리지 배율설명
UJB (ProShares Ultra High Yield ETF)2배 롱하이일드 채권(HYG) 지수의 2배 수익률을 추종.
SJB (ProShares Short High Yield ETF)1배 숏하이일드 채권 하락에 베팅하는 상품 

미국 채권 레버리지 ETF의 장단점

장점

  • 높은 수익 가능성: 금리 변화에 따라 큰 폭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음.
  • 단기 트레이딩에 적합: 하루 단위로 레버리지가 적용되므로, 변동성을 활용한 단기 매매 전략에 적합.
  • 채권 시장의 방향성에 대한 베팅 가능: 금리 상승 또는 하락에 따라 롱·숏 포지션을 선택할 수 있음.

단점

  • 장기 보유 시 수익률 왜곡: 매일 레버리지가 재조정되므로, 장기 보유 시 기대 수익과 다르게 움직일 수 있음.
  • 높은 변동성: 금리 변동성이 크다면, 손실 또한 빠르게 확대될 수 있음.
  • 비용 부담: 레버리지 ETF는 운용 수수료가 높으며, 지속적인 비용 부담이 존재.

미국 채권 레버리지 ETF 투자 시 주의할 점

  •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 트레이딩에 적합
    • 레버리지 ETF는 하루 단위로 수익이 조정되므로, 장기 투자보다는 단기 매매에 유리함.
    • 장기간 보유 시 복리 효과로 인해 기대한 수익률과 다르게 움직일 가능성이 큼.
  • 금리 변동과의 관계를 이해해야 함
    • 국채 레버리지 ETF는 금리 움직임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음.
    • 금리가 오르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고, 금리가 내리면 채권 가격이 상승함.
  • ETF의 구조 및 수수료 확인
    • 일부 레버리지 ETF는 선물 및 옵션 계약을 활용하여 운용되므로, 롤오버 비용 등이 추가될 수 있음.
    • 높은 운용 보수(Expense Ratio)를 고려해야 함.

관련 글 보기

위로 스크롤